부처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깨달음_ 사티쉬 쿠마르 자연으로부터 배운다. '심층생태학'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자연의 주인도 아니고 청지기도 아닌 자연의 친구이다. '친구사이'라는 말은 두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로 우리는 우리가 아는 사람을 친구 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들을 알고 있고, 함께 어울려 놀며, 시간을 보내고, .. 진리&종교 2009.05.25
절, 명상에 대한 이야기_ 생명평화경 7) 절에 대한 이야기 ① 합장이란? 이 세상 그 누구 그 무엇도 본래 분리‧독립된 것은 없습니다. 그물의 그물코처럼 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존재하는 것이 나요, 너요, 우리요, 세상입니다. 몸과 마음, 너와 나, 인간과 자연이 온통 불일불이(不一不二)입니다. 합장은 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불일불이로 존.. 카테고리 없음 2009.04.28
내 지역, 내 동네가 가장 특별한 진리의 현장_ 도법스님 도법 스님께서는 지난 18일 제주의 어느 선원에 설법을 하러 오셨다가 설법이 끝난 뒤에 생명평화결사 등불모임을 갖고 여러 귀한 말씀들을 해주셨습니다. 홍세화 선생님은 오늘 제주지역 시민단체 활동가학교에 강연을 하러 오셨습니다. 도법 스님은 2004년 봄부터 2008년 겨울까지 5년 동안 전국을 도.. 진리&종교 2009.03.03
무엇때문에 태어났고 왜 살아야 하는지를_ 도법스님 잊혀지지 않는 경험이 하나 있다. 한겨울 인적이 없는 눈 쌓인 산길을 혼자 가고 있었다. 갑자기 앞을 분간할 수 없을 정도의 눈보라가 몰아쳐왔다. 몸이 얼어 와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어디로 가야 할 것인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방향이 잡히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가지 않으면 안되.. 힐링&수행 2009.03.01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힘_ 간디 비폭력에 대한 나의 연구와 경험은 그것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힘이라는 점을 증명해 주었다. 그것은 진리를 발견하는 가장 확실하고 빠른 길이다. 그것 이외에 다른 길은 없기 때문이다. 그것은 조용히 움직여서 거의 알아챌 수 없을 정도이지만 확실하다. 그것은 우리 주변에서 진행되는 부단한 .. 진리&종교 2009.02.17
왜 폭력에 반대하는가?_ 간디 투고자는 비폭력적인 사람을 ' 이 세상에서 매일 서서히 진행되고 있는 흡혈'을 아무 감정도 없이 지켜보고 있는 침묵의 목격자로 상상하는 것 같다. 투고자가 밝히듯이 비폭력은 수동적인 힘도 무력한 힘도 아니다. 진리가 비폭력과 별개의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경우, 진리를 빼놓고는 비폭력이 이 .. 진리&종교 2009.02.17
평화는 가꾼만큼 가꿔지고 행한만큼 커가는 것_ 도법스님 세상의 평화를 원한다면 내가 먼저 평화가 되자 ‘지리산생명평화결사’ 낳은 1000일 기도 도법 스님 도법 스님이 2001년 2월16일부터 ‘생명, 평화와 민족화합’을 화두로 시작한 1000일 기도가 지난 12일 끝났다. 1000일기도는 새로운 형태의 평화운동체인 ‘지리산평화생명결사’를 낳았다. 지리산평화.. 카테고리 없음 2009.02.16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_ 신영복 제국의 논리를 넘어, 새로운 문명을 향하여 신영복의 문명론 김창진 |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성찰적 관점으로 새로운 사회와 문명의 구성원리를 생각할 때 신영복이 말하는 세계관의전환이 바로 '존재론으로부터 관계론으로'이다. 유럽 근대사의 구성원리가 개별적 존재-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그.. 진리&종교 2009.02.15
체 게바라 VS 간디 요즘같이 서로 힘으로 밀어 붙여서 상대를 제압할려는 시대에 간디처럼 비폭력저항으로 상대를 감화시켜서 독립을 이끌어 낸 사례가 있어서 탁발순례중에 도법스님께서 쓰신 글을 올려봅니다. -------------------------------------------------------------------------------- 간디를 다시 본다 해남순례길에서 있었던 일.. 진리&종교 2009.02.14
인드라의 구슬_ 박노해 * 인드라의 구슬 인드라의 하늘에는 구슬로 된 그물이 걸려 있는데 구슬 하나하나는 다른 구슬 모두를 비추고 있어 어떤 구슬 하나라도 소리를 내면 그물에 달린 다른 구슬 모두에 그 울림이 연달아 퍼진다 한다. - 화엄경 작은 연어 한 마리도 한 생을 돌아오면서 안답니다 작은 철새 한 마리도 창공을.. 진리&종교 2009.02.13
수행자에게 보내는 편지 행여나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을 한다고 생각하지는 말라. 도대체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누가 깨닫는다고 했는가? 깨닫겠다고 하는 그 사람이 문제다. 깨달으려고 해서 깨달음에 이른 사람은 아무도 없다. 깨달음은, 굳이 말을 하자면 보름달처럼 떠오르는 것이고 꽃향기처럼 풍겨오는 것.. 그러.. 힐링&수행 2009.02.13
한국 간화선에 대한 고언 한국 간화선에 대한 고언 첫째, 한국 간화선은 힌두화 되어가고 있다. 발제자는 감히 한국 간화선의 가장 큰 문제점을 한국 간화선은 성, 불성, 여래장, 심지어 참나, 대아, 주인공, 내부처, 본래 면목이라는 언어를 사용하여 아뜨만(자아=진아)이라는 대상을 세우고 그것과 하나 되는 수행으로 전락해가.. 힐링&수행 2009.02.13
아름다운 마무리_ 법정스님 아름다운 마무리_ 법정스님 아름다운 마무리는 처음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일의 과정에서, 길의 도중에서 잃어버린 초심을 회복하는 것이다. 아름다운 마무리는 근원적인 물음 '나는 누구인가?'하고 묻는 것이다. 삶의 순간순간마다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하는 물음에서 그때그때 마무리.. 힐링&수행 2009.02.13
함께 행복할 수는 없는가. 함께 행복할 수는 없는가 싯다르타 태자는 농경제를 계기로 깊은 사색에 잠기는 경우가 잦아졌습니다. 명상의 주내용은 '왜 생명들은 불공평한 관계속에서 고통받아야 하는가'라는 것이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의문은 왜 모두 함께 행복할 수 없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가 기존.. 진리&종교 2009.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