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필연적으로 책 읽기에도 많은 변화가 오고 있다. 독일의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인 만프레트 슈피처 박사는 <디지털 치매>(북로드)에서 '디지털 치매'는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SNS, 온라인게임, DVD 등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의 과, 남용으로 기억력, 학습력, 사고력이 떨어지고 뇌 기능 자체가 손상당한 상태를 가리킨다고 정의한다. 쉽게 얘기하면 '바보화'다. 그는 최근의 디지털 과잉 현상을 "우리 후손들을 완전히 바보로 만드는 것"이라고 통탄하며 가장 심각한 이들이 한국 학생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책에서 한국 학생들의 무려 12퍼센트가 인터넷 중독 상태라는 교육부의 2010년 발표를 여러 차례 언급한다. 슈피처 박사는 요즘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청소년들의 과잉 행동 장애나 자살, 성범죄, 폭력범죄 급증도 디지털 미디어 과, 남용과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아동, 청소년기 디지털 과, 남용을 막아야 개인도, 국가도 산다고 말한다.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아이들은 여가 시간의 대부분을 스마트폰과 보낸다. 감당하기에 너무 많은 학습량, 스마트폰과 게임, 인터넷 등 우리 아이들이 처한 환경은 책과 가까이하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다. 이럴 때일수록 아침독서운동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아침에 선생님과 함께 차분하게 책 읽는 시간을 갖는 일은 별것 아닌 듯 보이지만 아이들의 삶에 큰 울림과 변화를 줄 수 있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아침독서 10분의 시간은 매일 아침 담임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주는 선물이다.
신문에서 실리콘밸리에 있는 발도로프학교를 소개한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이 학교의 학부모 중 4분의 3이 구글, 애플, 휴렛팩커드 등과 같은 IT 회사에 다니는데, 학교에는 컴퓨터가 한 대도 없고 스크린보드, 빔프로젝트와 같은 디지털 기기도 없다고 한다.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발도로프학교에 대한 기사를 보니, 이 학교는 아이들의 창의적 사고와 인간 교류, 주의력 등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컴퓨터를 구비하지 않을 뿐 아니라 휴대폰, 아이패드, 노트북과 같은 디지털 기기도 못 가져오게 한다고 설명한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고등학교 1학년 때부터 디지털 교육을 하는데, 이 연령대가 돼야 자립적 판단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독서와 운동의 즐거움을 아는 학생들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도 중독되지 않는다는 것이 발도로프 교육의 핵심이라고 하는데, 이 학교 졸업생의 94퍼센트가 명문대에 진학한다고 한다. 내용이 다소 길지만 스마트폰과 관련해서 좋은 글이 있어 인용한다.
2013년 12월에 CBS의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스마트폰으로부터 아이를 구하라' 편이 방영되어 화제가 되었다. 핵심은 "독서를 통해 뇌의 전두엽을 자극시켜 사색을 하고, 사색이 학습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자"는 것이다.
대략 한 주에 3일, 하루 한 시간 이상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게임을 하는 초등학생들을 연구한 결과 사물에 대한 이해력이 현저히 낮아졌다는 통계가 나왔듯, 이해력과 생각하는 힘을 스마트폰이 방해한 것이다.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입력과 분류, 출력이라는 과정이 필요한데, 스마트폰으로 인해 전두엽의 활동이 적어지면서 정리와 표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입력은 많지만 정리가 되지 않아 학습이 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인터넷, 스마트폰 세대의 폐해를 막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읽기'를 강조하고 있다. 실제 책을 읽고 과제를 했을 경우에는 읽은 것을 정리하고 정리한 것을 써야 하기 때문에 과제 내용에 대해 75퍼센트를 이해하고 숙지했다는 결과가 있다. 인터넷 검색만으로 과제를 수행했을 경우에는 대다수가 과제 수행 결과를 기억하지 못하고 심지어 과제 내용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결과와 비교된다. 그러므로 우리 아이들에게 스마트폰과 게임보다 읽기가 중요한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운영하는 다독다독 포스트(http://dadoc.or.kr/1223)
나는 책나무를 심는다_ 한상수
'독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광 아버지의 책 숙제_ 신철식 (0) | 2018.03.15 |
---|---|
풍성한 가을, 독서로 마음의 행복을 높여보자_ 최영현 (0) | 2017.11.28 |
아침독서 4원칙_ 한상수 (0) | 2017.10.10 |
아침독서의 대표적인 효과_ 한상수 (0) | 2017.10.10 |
인생 무너지는 건 독서의 빈곤때문_ 김형석 (0) | 2016.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