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국노 고종 2

매국노 고종_ 박종인

황제가 받은 접대비 2만 원 '내탕금(황실 자금)이 부족하다는 점을 이용해, 심상훈을 통하여 황제 수중으로 2만 원을 납입했습니다.' 을사조약 체결 6일 전인 1905년 11월 11일 주한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는 일본 외무성 기밀 제119호에 의거해 기밀비 10만 원을 집행했다. 다음은 일본공사관 기록 전문이다. 이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 공개돼 있다. 문서에는 지출된 금액을 계산한 메모까지 그대로 남아 있다. '지난달 4일 자 기밀 제119호로써 보호권 확립에 관한 조약 체결 등을 위하여 무엇인가 비용을 필요로 하겠기에 기밀비 10만 원을 송부하여 위의 목적에 지출하라는 훈시를 받았습니다. 따라서 신협약 체결 전에 있어서는 당장 이토 대사 내한에 즈음해 궁중 내탕금이 궁핍 상태라는..

인물&역사 2022.12.11

헤이그 밀사 이위종의 연설_ 박종인

1907년 고종은 이상설을 대표로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를 파견했다. 밀사단은 이상설과 이준, 이위종이었다. 소위 을사보호조약 혹은 을사늑약에 의해 대한제국 외교권은 일본에 넘어간 상태였다. 고종은 그 조약이 부당함을 세계만방에 알리고 독립을 호소하기 위해 이들 세 사람을 파견했다. 1907년 4월 20일 자 고종 서명이 날인된 신임장을 들고 이들은 기차로, 배로, 걸어서 도착한 지구 반대편 도시에서 을사조약이 부당함을 만방에 알렸다. 대표는 이상설이었다. 이상설은 영어와 프랑스어에 미숙했다. 그래서 함께 간 이위종이 실질적인 대표 역할을 했다. 외국 기자들과 만날 때 마이크를 잡은 사람은 이위종이었다. 본회의장에 입장이 불허되자 이들은 외국 기자들 앞에서 회견을 했다. 회견장에서..

인물&역사 2022.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