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브리엘의 오보에 - 영화 "미션" 주제곡
영화는 1750년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와 브라질 국경 지역에서 일어난 역사적 실화이다."
"교황님의 영토 끝에서 발생한 문제는 해결됐습니다.
인디언들은 다시 스페인과 포르투갈인의 노예가 될 겁니다.
시작이 맘에 안 드는군, 다시 고치게.
교황님, 1758년, 지금 저는 남미 대륙에서 편지를 쓰고 있습니다.
여긴 남미 라플라타의 앙상센이란 마을인데, 산 미겔 선교회에서 도보로 2주 걸립니다.
이 선교회는 개척민들로부터 인디언을 보호하려 했으나, 오히려 반감을 사고 있습니다.
이곳 인디언들은 음악적 재능이 풍부하여, 로마에서 연주되는 바이올린도 그들이 만든것이
많습니다. 이곳으로 파견된 예수교 신부들은 인디언들에게 복음을 전하려 했지만 오히려
순교를 당하게 됐습니다."
1750년, 스페인과 포루투갈은 남미 오지에 있는 그들의 영토 경계 문제로 합의를 보았으나
유럽 한 구석의 탁자 위에서 그은 선이 얼마나 끔찍한 사태를 불러 일으킬지 아무도 관심이 없었다.
그곳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제수이트 신부들은 과라니족을 감화시켜 근대적인 마을로 발전시키고
교회를 세우는데 성공한다.
신부들 중에 악랄한 노예상이었던 멘도자(Mendoza: 로버트 드니로 분)는
가브리엘 신부(Gabriel: 제레미 아이언스 분)의 권유로 신부가 되어 헌신적으로 개화에 힘쓰고 있었다.
새로운 영토 분계선에 따라 과라니족의 마을은 무신론의 포루투갈 식민지로 편입되고,
불응하는 과라니족과 일부 신부들을 설득하려는 추기경이 파견되지만,
결과는 포루투갈 군대와 맞서 싸운 과라니족의 전멸로 끝난다.
"그리하여... 신부들은 죽고, 저만 살아 남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죽은 건 나고,
산 자는 그들입니다. 그것은 언제나 그렇듯 죽은 자의 정신은 산 자의 기억 속에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 칸느 영화제 그랑프리 수상작 -
"On Earth As It Is Heaven"은
미션의 주제음악으로 남미 민속음악을 연주하는 Incantation이
토속적이면서도 경건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이 넘치는 곡.
남미의 밀림 원주민에게 선교하러 들어간 가브리엘 신부가
원주민과의 처음 접촉을 시도한 방법이 바로 음악이다.
그가 폭포 아래서 이 곡을 오보에로 불던 모습 이 지금도 생생하다.
당시 남미에 좀 더 많은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백인들 간의
갈등 때문에 여러가지로 복잡했던 종교 정치상황 가운데서도
오직 원주민 선교를 위해 헌신하던 젊은 신부가 끝내
원주민 마을을 습격한 군대에 비폭력적으로 대응하면서 죽어가는 영화다.
미션 / The Mission (1986)
"신부들은 죽고 저는 살아 남았습니다.
하지만 진실로 죽은 건 나요, 산 자는 그들입니다.
왜냐하면 언제나 그렇듯 죽은자의 정신은
산자의 기억속에 남기 때문입니다."알타미라노 추기경의 보고서中
'음악&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The Ludiows (가을의 전설 OST) / James Horner (0) | 2011.10.17 |
---|---|
[스크랩] <시네마 천국> OST - 러브 테마곡 (0) | 2011.10.16 |
[스크랩] 4Men(포맨) ★ 못해 (Feat. 美) ★ 뮤직비디오+가사 (0) | 2011.10.05 |
[스크랩] 조관우 노래 연속듣기 ....겨울 이야기외 45곡 (0) | 2011.10.02 |
[스크랩] 김범수- 늪 (0) | 2011.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