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이야기

아침독서의 대표적인 효과_ 한상수

정정진 2017. 10. 10. 10:46


일본 여행을 통해 아침독서운동이 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을 길러줄 수 있는 최적의 독서교육 방안임을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도 의미가 있지만,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도 꼭 필요한 독서운동이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책 출간을 염두에 두고 인터넷으로 일본에서 나온 아침독서운동 관련 책을 검색했는데, 마침 일본에서 아침독서운동을 시작한 하야시 히로시 선생이 새로 낸 책이 예전에 봤던 소책자와는 달리 내용도 풍성하고 완성도도 높아 번역해서 출간할 만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판매 가능성보다는 이 책이 가진 가치에 주목한 청어람미디어의 정종호 대표의 호의 덕분에, 2005년 2월에 "아침독서 10분이 기적을 만든다"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출판사에 다닐 때 일본 책을 다른 편집자와 공동으로 번역한 경험이 있었는데, 이 책은 내가 단독으로 번역한 첫 책이다. 지금까지 2만 권이 넘게 판매되어 출판사에도 효자책이 되었다.

이 책은 아침독서의 대표적인 효과들을 몇 가지 소개한다. 가장 먼저 아침독서 덕분에 학교에서 오랫동안 사라졌던 정숙과 집중의 시간이 살아났다는 점을 꼽는다.


두 번째로, 아침독서시간이 아이들의 다른 행동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가 많다는 점을 얘기한다. "아침독서시간이 생기고 나서 학교 가는 게 즐거워졌다"는 반응도 있고, 아침에 혼자 일어나고 지각도 줄어들었다고 한다. 차분한 분위기가 1교시 수업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수업 태도가 좋아지고, 아이들의 표정이 생기발랄해졌다는 교사들의 반응도 전한다.


세 번째로, 책을 읽을 수 없던 아이가 읽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책을 읽고 싶어도 읽을 능력이 없던 아이, 교과서조차 제대로 못 읽던 아이가 매일 아침 10분 동안 책을 읽으면서 조금씩 책 읽는 힘을 기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아침독서를 통해 독서 능력이 향상된 아이들이 일상생활속에서도 차분하게 책을 읽을 수 있게 된 사실도 반갑게 소개한다.


네 번째로, 아이들이 꾸준히 책을 읽게 되면서 언어 능력이 좋아지고 그로 인해 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생겼다는 점도 당연하지만 반가운 소식이다.


다섯 번째로, 아이들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점은 기대하지 않았던 효과다. 어머니들이 자주 하는 얘기가 "아침에 혼자서 일어난다" "아침밥을 잘 먹는다" "지각하지 않으려고 집에서 일찍 출발한다" "만화와 텔레비전을 보는 시간이 줄었다"와 같은 반응인데, 이는 대부분의 부모가 아이들에게 바라는 내용이기도 하다. 또한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는 횟수도 늘었고, 용돈을 모아 책을 사는 아이들도 늘었다고 얘기한다.


여섯 번째로, 아침독서를 하면서 아이들의 마음이 더 풍성해지고 넓고 깊은 인간관계가 형성되었다는 보고가 일본 각지에서 나왔다고 한다. "다른 사람의 고통과 어려움에 대해 알게 되어 마음이 아팠다" "상대방의 기분을 생각하며 말하거나 행동하게 되었다" "모든 일에 시큰둥했는데 여러 가지 일에 감동을 받게 되었다"고 느낀 아이들은 친구와 선생님에게 감동받은 책을 소개하기도 하고, 가정에 독서 붐을 일으키기도 했다.


일곱 번째, 아침독서에 참여하는 모든 아이들이 그 아이에 맞게 인간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꼽는다. 아이들은 책 속에서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방식과 만나면서 조금씩 사람과 사회에 대해 알게 되고 느끼게 된다. 그러면서 "내 세계가 조금씩 넓어짐을 느낀다" "부모님과 선생님께 배우지 못했던 점을 책에서 배웠다" "내가 어떤 삶을 살아야 좋을지 배우게 되었다"와 같은 기특한 얘기들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아이들의 변화가 교사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얘기한다. "아침독서를 하면서 처음으로 교육의 가능성에 믿음을 갖게 되었다"고 고백하는 교사의 이야기는 아침독서가 가진 힘을 여실히 보여준다. "교사가 된 후 처음으로 아이들의 힘을 믿게 되었고 자신감도 생겼다"는 교사도 있다. 실제로 아침독서를 꾸준히 하면서 긍정적으로 바뀌는 아이들을 본 교사들이 아침독서의 열렬한 전도사가 되는 경우는 우리나라에서도 숱하게 일어났다.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가 점점 어려워지는 현실을 생각할 때, 아침독서가 가져오는 이러한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아침독서의 긍정적 효과가 가득 소개된 이 책은 교사들로 하여금 아침독서를 실천하고 싶은 욕구를 불러일으켰다.


나는 책나무를 심는다_ 한상수